Copy(4)
-
용어정리(task,thread,process,processor)
해당 용어들에 대해 거시적으로 정리하려고 합니다. Process의 사전적 의미는 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입니다. 쉽게 말하면 리눅스에서는 실행되고 있는 바이너리, 윈도우는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보면 될 것입니다. Processor는 core를 말하지만 하이퍼쓰레딩등의 core가상화 기술 이후 가상의 core도 processor로 구분됩니다. 다만 core가상화 기술 적용시 일부 성능저하가 발생할 수 있어 가상화가 적용 되었을때는 별도의 표시를 해주고 있습니다. . task 와 thread의 차이점이 무엇인가 이야기가 많이 있습니다. task는 작업의 최소단위로써 process,thread라고 할 수 있습니다. 과거 single tasking에는 대표적인 OS는 MS-DOS..
2020.06.19 -
메모리 RAM과 ROM의 특징 /RAM의 종류 / ROM의 종류
메모리(Memory)는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읽기 위한 저장공간이며, 크게 램(RAM : Random Access Memory)과 롬(ROM : Read Only Memory)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 표1. 메모리 분류 램(RAM)은 전원이 끊어지면 기억되어있는 데이터들이 소멸되기 때문에 휘발성 메모리(Volatile Memory)라 표현합니다. 데이터를 읽는 속도와 기록하는 속도가 같으며, 컴퓨터의 주기억장치, 응용 프로그램 로딩, 데이터 일시 저장등과 같은 곳에 사용됩니다. - SRAM (Static RAM) 정적램이라 표현하며, DRAM에 비해 용량은 적으나 5배 정도 속도가 빠르고, 가격이 비쌉니다. - DRAM (Dynamic RAM) 동적램이라 표현하며, IC집적도가 SRAM에 비해 높기 때문..
2020.06.11 -
LSB와 MSB란?
LSB란 무엇인가? LSB는 Least Significant Bit의 약자로서 하나의 데이터 형에서의 가장 낮은 위치의 Bit를 의미합니다. 이 예를 들어서 signed char 데이터 형과 unsigned char 데이터 형에 대해서 예를 들면 아래와 같습니다. 일단 LSB의 위치는 가장 값이 작은 비트인 2^0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이 LSB의 값을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 형에 들어있는 실제 숫자가 짝수인지 홀수인지 손쉽게 알아낼 수 있습니다. 이는 2진수 시스템에서는 당연한 이치라고 할 수 있겠죠? 한편 이런 LSB는 프로그래밍 시 주로 난수발생 함수, 해시 함수, 검사합(Checksum) 함수 등에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. 왜냐하면 LSB는 값이 조금이라도 변경된다면, 데이터 형의..
2020.06.10 -
전자공학에서 바이어스 bias 의 의미
1. 바이어스란 무엇인가? 어떤 단어의 정확한 개념이란 적용 대상이나 범위에 따라서 달라지는 법...어려운 질문입니다. 일반적인 '바이어스(bias)'라고 하면, 가만히 (자연스럽게 또는 자유로이) 내버려두지 않고 외부에서 힘이나 에너지를 가하여 의도적으로 한 방향으로 치우치게 하거나 특정한 경향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. 예를들어, 어떤 정책에 대한 지지도를 설문조사를 하는데, 조사 대상을 제한하거나 질문의 또는 고를 답변의 예문 등이 공정하지 못할 때 '바이어스'가 걸려 있다고 합니다. 고의적으로 치우친 대답이 나오도록 '바이어스'가 걸려있다는 것이지요. 이러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미가 되지요. 반면에 대부분의 공학에서는 설계자의 의도를 담아 방향성을 주는 것을 바이어스라고 할 수 있..
2020.06.10